2025년 들어와서 이더리움(ETH) 가격이 급격히 하락해서
투자자들이 많이 힘들어하는 중이야.
코인시장의 2대장인데도 불구하고 약5개월간 이더리움 가격이
시름시름 하락중이야.
그런데 이 와중에서 대형기관에서는 이더리움 가격이 이제 거의
바닥권에 도달했다는 주장이야, 즉, 장기투자자라면 이제부터
매수를 시작해도 좋다라는 이야기야.
나도 이더리움을 보유중이고 물론 현재는 마이너스 수익중인데
여러 온체인 지표, 기술적 자료등을 살펴보면 이더리움 가격이
비록 지금부터 더 하락한다고 해도 추가하락할 확률대비해서
상승해줄 확률이 훨씬 더 높아보인다는 거야 (일명: 손익비가
좋은 구간에 진입했다)
몇가지 주요 자료료서 설명해볼게,
목 차
1. 온체인 지표로 살펴보는 이더리움 가격
2. 이더리움 L2 생태계의 활성화 증가
3. 미국 SEC의 이더리움 스테이킹 승인 가능성
4. SEC가 이더리움 스테이킹 승인시 이더 가격 예측전망
1. 온체인 지표로 살펴보는 이더리움 가격
2025년 들어와서 ETH 가격이 꽤 많이 빠졌지. 근데 미국 대형 기관투자가인 피델리티는 이걸 단순한 하락이 아니라 ‘바닥권 진입’ 신호로 보고 있어. 왜 그런 판단을 하냐면, 몇 가지 온체인 지표랑 기술적 지표가 지금 긍정적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야.
NVRV Z-Score (Net Realized Value to Market Value Z-Score)
뭐냐면:
- 이건 이더리움 가격이 실제 ‘내재가치’ 대비 과대평가 or 과소평가 되었는지를 보는 지표야.
- Z-Score가 낮을수록 (특히 0 이하로 떨어질수록) 시장이 과하게 공포에 빠져있다는 뜻이야.
지금 어떤 상태냐면:
- 피델리티에 따르면 이 지표가 2022년, 2018년 저점 구간과 비슷한 위치까지 내려왔대.
- 과거 이런 수준에선 대부분 큰 반등이 나왔고, 장기적으로 수익이 났던 시점이야.. 기술적인 지표를 쉽게 설명하자면 그렇다는 거지.
- 자금이 있는 투자자라면 이제부터 이더리움 가격에 기대를 갖고 진입해 볼만한 시기라는 거지.
NUPL (Net Unrealized Profit and Loss)
이건 뭐냐면:
- 홀더들이 평균적으로 이익 상태인지 손실 상태인지를 보여주는 지표야.
- NUPL 값이 낮아지면, 대부분의 투자자가 손해보고 있다는 뜻이고, 이런 구간이 보통 바닥 근처야. 이러한 온체인 지표는 통계적으로,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장기적으로는 적중할 확률이 많았다는 거지.
지금 상태는:
- 최근 NUPL이 ‘Capitulation(항복)’ 구간에 근접하고 있다는 분석이야.
- 즉, 사람들이 많이 포기했거나 팔아버렸다는 뜻이고, 현 시점이 투매 후 안정 구간일 수 있다는 거지. 즉, 이더리움 가격은 향후 긍정적인 흐름을 보일 확률이 많다는 거지.
2. 이더리움 L2 생태계의 활성화 증가
생태계 활성화 (특히 Uniswap 활동 증가)
왜 중요하냐면:
- ETH의 가치는 단순히 토큰 가격뿐 아니라, 그 위에서 돌아가는 앱들이 얼마나 활성화되어 있는지에 따라 결정돼.
- 최근 Uniswap의 사용자 수, 거래량, 수수료 수입 등이 꾸준히 상승 중이라는 건, → 사람들이 다시 ETH 기반 앱을 쓰고 있다는 신호야.
핵심 포인트:
- 특히 L2들(아비트럼, 옵티미즘, 베이스 등)의 수수료 수익도 늘고 있고,
- 이 L2들은 다 ETH 생태계의 일부니까, ETH의 실제 사용성과 네트워크 효과가 강화되고 있다는 뜻이야.
3. 미국 SEC의 이더리움 스테이킹 승인 가능성
부정적인가?
엊그제 미국 SEC는 그레이스케일이 신청한 이더리움 (ETH) 스테이킹(Staking)
승인요청을 6월 1일까지로 연기했어. 최종적으로는 2025년 10월까지도 연기할
수 있는 일정으로 발표되었어. 이에 따라서, 일부 실망한 이더리움 매물이 시장에
나와서,
- 단기적으로는 매도세가 나올 수 있어. 이더리움 가격이 추가로 하락할 수도 있다는 거지.
- 근데 이건 이미 일정 부분 시장이 예상한 이슈였고, 피델리티도 이걸 ‘악재 속 기회’로 본다는 입장이야. 이더리움 가격에는 희망적이라는 거지.
결론적으로:
ETH는 지금,
- 기술적 분석 지표상 바닥권이고,
- 온체인 활동도 좋아지고 있으며,
- 기관(피델리티)도 긍정적으로 판단하고 있어.
즉,
“장투할 거면 이더리움 가격은 지금부터 분할매수하기 괜찮은 타이밍”
이라고 정리할 수 있어.
4. SEC가 이더리움 스테이킹 승인시 이더리움 가격전망
Standard Chartered
- ETH 스테이킹 ETF가 2025년 5월에 승인될 경우, 연말까지 ETH 가격이 $8,000에 도달할 수 있으며, 2025년 말에는 $14,000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었는데 이번에 승인나지 않았으니 다음 기회를 엿봐야 해.
- (2025년 4월 30일 현재 이더리움 가격은 $1,800 수준임)
Nexo (Andrey Stoychev)
- 미국과 아시아에서 ETH ETF가 승인되면, ETH 가격이 $10,000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해.
- 이는 비트코인 ETF 승인 후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했던 사례를 참고한 분석이야.
21Shares ETF 스테이킹 통합 제안
- 21Shares는 미국에서 처음으로 ETH ETF에 스테이킹 기능을 통합하는 제안을 SEC에 제출했어.
- 이 제안이 승인되면, ETH 가격이 $4,000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어.
요약
- 단기 전망: ETH 스테이킹 ETF가 승인되면, ETH 가격이 $4,000~$8,000 범위로 상승할 수 있어.
- 중장기 전망: 시장 상황과 수요에 따라 이더리움 가격이 $10,000~$14,000까지도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어.
이러한 예측들은 시장의 기대와 투자자들의 심리를 반영한 것이지만, 실제 결과는 다양한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2024년 SEC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ETF를 승인해준 이후
기관들 자금이 진입해서 ETF 시장이 활성화되는 것을 감안한다면
지금부터는 코인시장도 기관들이 주도적으로 이끌게 될 건데
기관들의 주요 수입원이 수수료라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이더리움
ETH에 스테이킹이 승인된다면 기관들로서는 스테이킹 이자로
수익 챙기고, ETH 수수료로 챙기고 도랑치고 가재잡는 격이겠지.
지금이야 이더리움 가격이 생각보다 너무 많이 하락해서
꼴도 보기 싫은 투자자들이 많을텐데 이럴수록 심호흡하고나서
이성적으로 관련 자료, 분석 데이터 챙겨보면서 전문가들의
조언을 귀담아 들어본다면 판단이 서지 않을까 싶어.
물론, 내 돈은 나의 책임하에 관리하고, 투자도 하는 거지. 외로운 길.
그래서, 공부하는 것이고.